★順興 1派 康津(耽津))安家 上將軍公派
護國 忠節 先塋 地 文化財 申請 資料
(호국 충절 선영 지 문화재 신청 자료)
아래 내용은 강정묘 선영에 잠드신 조상님의 업적과 내력입니다. 읽어보시고 수정 및 교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발 기 서 문-
한반도....
우리나라... 같은 말, 같은 글자를 쓰는 동족(同族)임에도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토가 분단된 나라...
열강들의 치열한 세력 다툼의 틈바구니 속에서 얼마나 많은 민족의 비극적 비운이 동족을 힘겹게 하였습니까?
약 5000년 역사 동안 민족의 질곡을 현대를 살아가는 국민으로서 동족으로서 조상님들께서 남기신 호국의 발자취를 이 대로 잠재
우기에는 너무나 한 서럽고 안타까운 일이라 판단되어 우리 모든에게 삶의 귀감이 되고, 나라를 위한 충성된 선조님들의 혼과 넋이
잠든 이곳을 문화재로 신청하고자 그 분들의 시대적 삶을 부족하나마 선영에 잠드신 선조님에 관해 연대별로 정리하여 제출하고자 하오니 잘 검토하여 문화재 및 지역문화재 성역화를 지정하여 후손들에게 교육의 장으로 되었어면 좋겠습니다.
- 취 지 -
잘 아시는 바와 같이 1차로 작년(2008년 8월 경)에 머리방 저존재와 계보도 목판 69권은 문화재 신청을 했습니다.
2009년 8~9월경이면 확정 통지가 올 것 같습니다. 그리고 청덕면 강정묘 선영 문화재 신청 건은 약간의 의견차이로 신청을 하지 못 했습니다. 사실 그 일대를 임진왜란 전적지로 성역화 하려고 합니다.
낙동강 정비사업 22조억 원 중 황강 정비 사업으로 약 2,200억 원을 지원을 받아 정비 하려고 합니다.
이곳은 경남의 내륙지방이요 서부경남 합천군 청덕면 가현리 소재 순흥1파 강진(탐진) 安家 상장군(上將軍)공파 大 宗中 先山으로서 이곳에 잠든 분들의 업적을 밝혀 역사적으로 다시 조명하여 평가를 받고자 합니다.
1360-1370年 사이 중국의 땅 주인의 자리 놓고 망해가는 元나라와 새로 開國한 明나라 주원장 주원문의 싸움에 힘없는 高麗를 지키려는 勢力과, 새 나라를 創建해야 한다는 세력과의 갈등에서 충절을 지킨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安 禮 上將軍은 太祖 이성계가 3번이나 사람을 보내 함께 國史를 論하자고 하여도 두 임금을 모실 수는 없다고 하여 초야에서 잠든 고려의 충신입니다.
1506년 중종반정 후 안당과 조광조 등이 道德政治를 하려고 하다가 역모로 몰린 己卯士禍로 곤욕을 치른 安 遇 선생과 1592년 壬辰倭亂 때 가동을 동원하여 왜장과 싸우다 전사하신 安 沂 선생과 그 아들 安 克家 그 손자 安 珏, 安 喆등이 왜병과 싸운 곳입니다.
특히 이곳은 낙동강과 황강(황둔강)이 합쳐지는 곳입니다.
당시 만석의 재물을 의병 활동을 위해 모두 내놓았습니다. 임진왜란 정묘 재란 7년 전쟁동안 서부경남 의령, 합천, 고령, 지역의 양민들을 지키신 망우당 곽재우, 내암 정인홍, 설산 이대기 장군들의 뒤에는 안극가의 활동이 있었습니다.
이 내용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와 내암 정인홍선생 문집과 濯溪 全致遠선생 문집과 망우당 곽재우장군 문집에 기록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분님들의 발자취를 서술하려고 합니다.
- 역사적(歷史的) 내력과 동기-
1, 안 원린(安 元璘)은 고려 충숙왕(忠肅王)11년 갑자년 서기 1324년 출생 하셨고 충혜왕 2년 1341년 3형제가 문과에 급제 하여 관직은 검교중추부사(檢校中樞府事)에 오르고 耽津君으로 봉군 받고 시호는 文烈公이다. 탐지냐강진)안씨 시조입니다.
목은 이색선생님의 문집을 보면 安향선생의 후손 三 兄弟가 文科에 及第한 內用을 致賀하는 序文의 時가 있습니다.
1) 큰아들- 안 우(安 祐)
(1) 출생년도가 정확히 기록이 없습니다.
(2) 1352년10월 趙日新이 亂을 일으키매 그를 토벌 하여 軍薄判書上護軍(군박판서상호군) 임명되고 1361년 11월에 都元帥가 되었다.
(3) 1362년 1월 홍건적을 대파하고 2월에 金鏞(김용)이 공을 行宮에서 害치는 일이 發生 했습니다.
(4) 그 후 포은 정몽주가 왕에게 奏請(주청)하여 시신을 수습하고 글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
(5) 조선 太祖 7년 禮曹에 命하여 숭의전을 건립하여 安 祐, 金得培, 李芳實, 鄭夢周 등 명신 16人을 함께 配享 하도록 했습니다.
(고려사에 3원수의 한사람 임)
2) 둘째 아들-안 예(安 禮)
(1) 고려 충혜왕 2년 1341년 출생하고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은 匡靖大夫(광정대부) 判密直提學(판밀직제학) 神虎衛上將軍
(신호위상장군)에 올랐습니다.
(2) 공민왕이 등극하여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 龍岩 金澍(김주)제현등과 부름을 받아 王室에 忠誠하다가 國運이
다함에 이르러 八溪郡(고려시대의 초계지역의 옛 명칭입니다)으로 南下하였다고 합니다.
(3) 朝鮮 開國 후 太祖 이성계가 3번이나 臣下를 보내 함께 國史를 議論하자고 하였으나 나가지 않았습니다.
(4) 아들(안홍기)에게 과거 보러가기 전 훈계하기를 너는 내가 고려조를 섬기는 마음과 같이 조선을 섬겨 충성을 다하라고 하면서
보냈다고 합니다.
3) 셋째 아들-안 복(安 福)
(1) 高麗 禑王 14년 1388年 문과에 급제 관직에 나아갔습니다.
(2) 그러나 정몽주, 이숭인선생 등을 잡아가두는 것을 보고 낙향 하였 습니다.
(3) 仲兄(안예)이 이숭인선생을 구원하는 계책에 힘을 쓰는 것을 알고 어머님을 모시고 창녕군 靈鷲山(영취산)아래에 들어가 세상일
에 관심을 버리고 義와 孝를 행하였다.
(4) 조선 태조가 초계군수로 임명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5) 태종5년 1405년 영산 계성 坊葛峴(방갈현) 효자리에 旌門을 세워 포장하였습니다.
(6) 英祖 49年 1773年 宜寧郡 富山面 雪山村 右에 旌門(정문)을 移建 했다.
* 旌門(정문)의 뜻-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기위해 나라에서 세운 문.
이상과 같이 安祐, 安禮, 安福은 三 兄弟분으로서 高麗가 망해가고 朝鮮이 開國하는 歷史的 激動期에 살았던 분들입니다.
그래서 인지 정확한 출생 년 월일의 기록이 명확히 남아 있지 않습니다.
慶南 陜川郡 淸德面 佳峴里(옛 하회) 일대의 탐진(강진) 安家 先山에는 둘째 아들 安 禮 선조님과 그 후손들이 약 600-500년 전부터 잠들어 있는 곳입니다.
日帝時代 상해 臨時政府 獨立資金 60% 조달하신 白山 안희제선생을 필두로 독립운동을 강력히 투쟁했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곽재우 장군과 내암 정인홍선생과 설학 이대기 장군, 이순신 장군 등과 함께 온 집안가동을 동원하여 싸웠습니다.
현대 인물로는 안 호상 초대 문교부장님, 安 相敦 前 부산고등법원 院長과 안 경률 한나라당 사무총장과 안 철상 대법원장 비서실장, 안 상근 慶尙南道 정무부지사 등이 계시고 고위직 공무원과 사무관 급 이상 공직자와 여 검사, 의사 등등...
이 얼마나 대단한 집안이요, 문중입니까?
일찍이 이 퇴계 선생은 조선(朝鮮)의 최고(最高) 가문(家門)은 안씨(安氏) 집안이라고 했습니다.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도산 안창호 선생님, 안중근 의사님, 안익태(애국가 작사 작곡) 선생님 등도 우리 집안이요, 문중입니다.
2, 선영에 잠든 선조님의 발자취....
1) 安 禮 상장군 묘소가 있습니다.
위에서 기록 한 바가 있습니다. 사망년도가 기록이 없습니다. 鄭씨 할머님과 雙墳입니다.
2) 安 鴻起(안홍기)는 안예 상장군의 외아들입니다. 자는 漸夫(점부)
(1) 안홍기 조님은 1370년(고려 공민왕 19년) 출생하셨고
(2) 조선 태종 생원시에 급제하고
(3) 세종 원년 1419년 策問에 對策하여 江湖 金叔滋 와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 정자를 거쳐 홍문관 부정자,
禮文館檢閱(예문관검열)에 임명되고
(4) 세종2년1420년 사현부지평, 사헌부집의를 거쳐 통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5) 1421년 홍문관수찬 겸 經筳侍講官(경정시강관) 吏曹正郞(이조정랑)역임하시고 1422 년 영산수 령을 역임.
1423년 54세로 卒 했습니다. 咸陽吳씨 할머님과 合窆(합폄)
3) 안 중광(安重光)은 안홍기(安鴻起)조님의 외아들입니다.
(1) 태종14년 1414년에 출생했고 字는 輝可(휘가)입니다.
(2) 문종원년 1451년 과거에 출사하시고 訓練習讀을 除授 받고 통정대부로 품계가 오르고 漢城參軍 이 되었다.
(3) 世祖원년 1455년 단종이 세조에게 禪位(선위)하니 관직을 버리고 귀향하였다.
(4) 성종 8년 1477년에 卒 했습니다. 할머님은 河씨 合窆(합폄)
4) 안 우(安 遇)은 안중광(安重光)조님의 아들입니다.
(1) 세종31년 1449년 12월 12일 출생하였습니다. 字는 時叔이고 號는 蘆溪입니다.
(2) 김종직(호:점필제)문하에서 수학하시고 성종11年 1480年 황둔강 상곡에 滄浪亭 이라 는 정자를 건립하여 학문에 전진 하였다.
(3) 중종13년 1518년 경상도관찰사 모재 金安國의 천거로 특별한 禮遇로 전생서 主筆을 제수 받았 습니다.
(4) 동년(1518년) 5월8일 영의정 정광필과 이조판서 안당과 대면하여 시국과 정사를 論하고 안음현감으로 제수 받았다.
(5) 1519년 안음현감을 사양하고 고향으로 귀향했다.
(6) 1520년 기묘사화로 東泉 金湜선생의 일로 연좌되어 湖南 雲峰縣 引月이라는 곳으로 귀양 보내 졌습니다.
(기묘청적에 기록이 있음)
(7) 중종 22년 1527년 3월 26일 79세에 졸 하였습니다.
(8) 肅宗 18년 1692년 士林에서 합천군 靑元面(지금의 청덕면) 松林村에 松原書院을 창건하여 正位 하였다.
할머님은 崔씨 雙墳입니다.
5) 안 근(安近)은 安 重光조님의 둘째 아들이고 일찍 사망 했다고 기록하고 있습 니다.
부인은 孫씨 할머님 부군이 일찍 요절하여 자식이 없고 열녀정문이 있습니다.
6) 안 상경(安商卿)은 安 遇(안우)조님의 아들입니다.
(1) 성종 원년 1470년에 출생하였고 字는 公翼(공익)입니다.
(2) 성종 23년 1492년 薦擧(천거)로 翊衛司의 洗馬를 除授받고
(3) 성종 25년 1494년 통정대부 僉知中樞府事(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4) 명종 16년 1561년 12월 9일 사망하셨다.
(5) 부인이 豊城君 杠(강)의 딸이고 梧城君(오성군)의 손녀이고 太宗(이방원)의 현손이다.
(6) 萬石 할아버지라고 한다. 할머님은 왕족이라 시집오면서 전답을 많이 받아 오신 것 같습니다. 쌍분이다.
7) 안 홍(安泓)은 안상경조님의 큰아들이다.
(1) 중종 11년 1516년 출생하시고 字는 學源이다.
(2) 천거로 童蒙敎官을 除授 받고 봉화현감을 제수 받았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3) 슬하에는 자녀가 없습니다. 가현선산에 쌍분이다.
8) 안 충(安沖)은 안상경조님의 둘째 아들입니다.
일찍 사망하여 기록이 없습니다. 부인도 자녀도 있다는 기록이 없습니다.
9) 안기(安沂)은 안상경(安商卿)祖님의 셋째 아들입니다.
(1) 중종21년 1526년 출생하셨고 字는 學淵이다.
(2) 명종 5년 1550년 문과에 급제하여 찰방 예조좌랑 사간원정언
(3) 司憲府掌令(사헌부장령)과 朝奉大夫에 올랐습니다.
(4) 1592년에는 66세 이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家僮을 동원하여 왜군과 싸우다가 왜장의 칼에 순절 하였다고 기록 하고 있습니다.
(5) 할머님은 宜春南氏이고 선영이 쌍분으로 모시고 있습니다.
10) 안극가(安克家)은 안기(安沂)祖님의 아들입니다.
(1) 명종2년 1547년 9월7일 출생하시고 字는 宜之이고 號는 磊谷이다.
(2) 어릴 때는 할아버지(안상경: 첨지중추부사 역임)로부터 배우고
(3) 12세부터 龜巖 李楨선생 門下生이 되었습니다.
(4) 20세에 혼인하고 21세 6월에 아들 珏이 出生하고 30세에 둘째 喆이 出生하고 32세에 셋째 赫을 出生 했습니다.
(5) 1577년 봄에 浩浩亭을 짓고 많은 친구들과 교분을 가지면서 학문을 연구하였다.
(6) 1592년 6월 당시 나이 46세 때 아버지 안기(찰방공)조님이 왜장에게 해(害)를 당하고 나서 바로 초계의병을 창의 하였다.
(초계의병 창의도에 상세히 기록하고 있음)
(7) 큰아들 안각을 재정 및 주부로 삼았다.
(8) 1594년 8월 喪을 벗고 둘째 아들 安 喆과 곽재우 망우당 義兵陣中으로 갔다.
(9) 1595년 봄 고향으로 돌아와 찰방공 窆禮(폄예)를 행하고 삭망에는 성묘를 했다.
(10) 1596년 50세에 곽 망우당 진중에 가서 국사를 談論(담론)하고 다음에는 이순신 장군에게 가서 담론을 했습니다.
당시 이순신 장군은 白衣從軍으로 합천군 율곡면 매실 이라는 곳에 와 있었습 니다.
이 내용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11) 1599년 53세 때 이상국 충원이 천거하기를 江湖逸老道學眞儒(강호일노도학진유)라하여 선조 임금을 친견하시고
특채로 社稷署參奉(사직서참봉)을 제수 받았다.
(12) 1600년 4월 장사랑 집현전참봉으로 옮기고 망우당에게 時두수를
지어주었다. *참고:조선 사회신분 제도에 관해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당시는 벼슬길에 아무나 나가지 못 했습니다. 즉 계급사회라고나 할까?
아무리 나라에 공이 있다고 해도 그 공을 인정하고 신분을 격상시켜주어야 벼슬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추정하건대 곽재우 장군께서도 병조판서를 재수 받았다고 하나 나가지 못한 사연이 있다고 봅니다.
격려하는 마음으로 시(時)를 지어 주신 것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조 임금은 김덕룡 의병장을 역적으로 몰아 죽였습니다.
아마 이순신 장군도 그런 차원에서 한산대첩에서 전사 하셨다고 판단 해 보셔야 할 것입니다.
임진왜란 공신 록에 관해서도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13) 1601년 55세 때는 오리 이원익을 따라 동호에 갔다.
(14) 1602-1606년까지 宜務郞, 承訓郞, 承議郞, 奉訓郞, 濟用監奉事, 院奉事, 奉直郞, 通善郞, 尙瑞院 直長, 통덕랑 남부주부
59세에 삼가현감 조산대부, 봉열대부, 봉정대부 등을 역임하고 61세에 고향으로 왔다.
(15) 1610년 64세 때 내암 정인홍선생이 관직을 천거 했으나 나가지 않았다.
(16) 1614년 5월23일 68세로 졸 했습니다.
안극가(安克家) 할아버님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장에 깊이 관여 하신 분입니다.
이순신 장군(將軍)과도 전쟁에 관해 의론(議論)하셨고 곽재우 장군(將軍)과도 아주 깊이 관여 했습니다.
아들을 곽재우 진영에 2년간 파견하셨고. 노순(적중 황정리 사람)선생을 전령으로 두고 상호 연락을 했습니다.
큰 아들은 군자감 및 주부을 했습니다.
(군자감이란 전쟁을 하기위해 군사 물자를 조달하고 기록하는 사람을 말 합니다.)
이순신 장군(將軍)의 난중일기(亂中日記)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고, 망우당(곽재우 장군 효) 문집과 전탁계 선생,
내암 정인홍(광해군 때 영의정) 선생, 설학 이대기 장군(將軍) 등의 문집에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나 청덕면 강정 묘 선산에 모시지 않고 쌍책면 매실이라는 곳 뒤 산 명당에 모셔져 있습니다.
11) 안각(安珏)조님은 안극가 할아버지의 큰 아들입니다.
(1) 명종 2년 1567년 6월 20일 生이시고 字는 君玉입니다.
(2) 관직은 통정대부 軍資監 主簿(군자감 주부)입니다.
(3) 입진왜란 때 할아버지(安沂=사헌부 장령 역임)께서 가동을 동원하여 싸우시다 왜장 에게 害를 당해 순절(殉節)하시니
아버지 안극가님과 함께 애통(哀痛)호곡(號哭) 하며 적과 싸우며 조부님 의 시신을 보호하니 적이 감동하여 효자(孝子)
로다 하며 해치지 않고 물러갔다고 합니다.
(4) 동생 안철(安喆)과 충무공 이순신장군, 곽재우 장군 진영을 오가며 싸웠습니다.
(5) 숙부인(淑夫人)은 경주 김씨 김원용님의 딸입니다.
(6) 묘소는 합천군 쌍책면 상옥전(세양골) 합분(合墳)으로 모시 있습니다.
12) 안철(安喆)조님은 안극가 할아버지 둘째 아들입니다.
(1) 선조 9년 1576년 출생 했다고 기록 하고 있습니다.
(2) 자(字)는 여길(汝吉)이고 호는 초당(草堂)입니다.
(3) 아버지 안극가님과 형 안각과 임진왜란에 아주 적극적으로 활동을 했습니다.
(4) 17세 곽재우 의병장님의 진영서 2년간 참전하셨고 이순신 장군 진영에도 오가면서 활동을 했습니다
(5) 초계 의병(義兵) 창의록(倡義錄)을 보면 좌포장으로서 황둔강(황강) 전투와 창녕 화왕산 전투 등에 참전 했다고
기록 하고 있습니다.
(6) 관직은 통정대부(通政大夫) 경성판관(鏡城判官)을 지내셨습니다.
(7) 기일(忌日)은 7월12일이고 숙부인은 분성허씨(盆城(許氏)입니다.
(8) 전장에서 순국하였다고 합니다.
(9) 묘소는 가현(강정묘)선영이 있고 아들을 두지 못해 큰형의 셋째 아들(이후)이 봉양 했습니다.
* 참고 : 부족한 소생(小生)이 아는 것이 없습니다.
1980년 출간한 경신(庚申) 보(譜)를 보고 자료를 발취 했습니다.
잘 못된 분야를 검토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교정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2008년 11월 15일 부산 종회의 요청으로 정리 했다가 2009년 5월에 추가 정리 했습니다.
2009년 5월 26일
메일 ID : ahn5308@nave.com (네이버 메일로 보내주세요.)
shrtkstjstod@hanmail.net (다음 메일은 정책 건의 및 사회 문제)
순흥 1파 강진(탐진) 안가 상장군 공파
발췌인 부산 종회 총무 : 안 희 록 씀